디지털위협대응본부 산하 스미싱대응팀 신설·보이스피싱 대응팀 강화

AI 보안 등 신기술 보안정책 역량 강화···기술·인재 양성 생태계 구축


[데이터넷]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국민의 일상을 위협하는 디지털 민생범죄에 철저히 대응하고 민생·안전·산업·역량 등 4대 발전전략을 실천하기 위해 16일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직개편은 고위험 사이버 공격에 대해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대응 태세 전환과 새로운 비전인 ‘국민의 안전과 국익을 보호하는 최정예 정보보호 전문기관’으로서 총력을 기울이고자 조직을 확대·개편했다.

디지털 민생범죄에 대해 엄중히 대처하기 위해 ‘국민피해대응단’을, 국민피해 관련 조사·분석을 위한 ‘디지털위협분석팀’, ‘스미싱대응팀’을 신설한다. 또한 매년 증가하는 스미싱 관련 국민피해에 강경 대응하고 범죄 예방을 위해 ‘보이스피싱대응팀’을 국민피해대응단에 배치하여 ‘원팀’ 대응체계를 갖췄다. 본 대응체계는 디지털 신기술로 다양해진 사이버 위협에 선제적·공세적 대응을 목표로 ‘디지털위협대응본부’에서 운영한다.

개인정보의 안전과 활용을 강조하기 위해 ‘개인정보안전활용본부’를 두고 디지털 이용자 보호를 위한 창구를 일원화하기 위해 ‘디지털분쟁조정지원팀’을 전략 배치하는 등 국민 피해예방에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

AI 보안 등 신기술 보안정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정책연구실을 운영하고, 정보보호 산업 육성을 위해 ‘정보보호산업본부’를 두어 정보보호 기술·인재 양성 생태계를 구축한다.

디지털 심화기 도래에 공급망 보안 강화를 통해 경제안보에 기여하기 위해 ‘디지털안전지원본부’에 ‘공급망안전단’, ‘신기술안전단’을 신설한다.

이상중 KISA 원장은 “급변하는 사이버 보안 트렌드를 주도하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사이버 범죄 피해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오로지 국익과 민생을 위한다는 자세로 디지털 안심국가 실현에 함께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이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