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소득 60%는 원리금 상환에 써
평균 연체율 1.5%… 4년 만에 최고

3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 수가 450만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이들이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해 연체하는 비율도 4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한국은행이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명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2분기보다 2만명 증가한 수치다. 전체 가계대출 차주(1938만명) 중 다중채무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22.7%로 사상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1.5%로 추산됐다. 2019년 3분기(1.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58.4%로 나타났다. 월소득의 약 60%를 대출 원리금 상환에 쓰고 있다는 이야기다. DSR은 대출자가 한 해 갚아야 하는 총원리금을 연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차주의 부담 수준을 가늠하기 위한 지표다. DSR이 70%가 넘는 다중채무자도 26.2%(118만명)에 달했다. 갚아야 할 원리금이 소득보다 많은 DSR 100% 이상 채무자도 14.2%(64만명)를 기록했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취약 차주로 분류되는 저소득자(소득 하위 30%)와 저신용자(신용점수 664점 이하)가 늘고 있다는 것도 문제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전체 가계대출자 중 취약 차주가 차지하는 비중은 6.5%이다. 직전 분기(6.4%)보다 0.1% 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2020년 3분기(6.5%) 이후 3년 만에 최대 기록이다.

유규상 기자